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디버깅
- github
- JetBrains
- 버전관리
- IntelliJ
- java
- Spring
- scrapy
- 엑셀
- docker
- git
- 자바패턴
- GPT
- MYSQL
- git초보자팁
- python
- 주식용어
- 엑셀강의
- git입문
- git연재
- 민생회복지원금
- git초보
- 개발툴팁
- Ai
- 민생회복소비쿠폰
- 엑셀중급강의
- AES256
- gradle
- 개발생산성
- 엑셀고급강의
목록git (22)
나만의공간
📚 Git 20회차. Git 마스터를 위한 추가 학습 리소스 & 추천 코스축하합니다! 🎉 Git 입문부터 실전까지 19회차를 따라오신 여러분은 이제 Git의 기본을 모두 익힌 진짜 실전 유저입니다. 이번 마지막 회차에서는 Git을 더 깊이 있게 이해하고, 진짜 ‘마스터’로 가기 위한 학습 리소스와 팁을 공유할게요 😊🎯 Git을 더 잘 쓰고 싶다면?Git은 단순한 ‘버전관리 도구’가 아닙니다. 프로젝트 이력관리, 협업, 자동화, 배포 흐름까지 모두 연계되는 핵심 기술이에요.초보에서 중급, 실무 고급 개발자로 가기 위한 학습 로드맵은 다음과 같습니다. Git 내부 구조 이해하기 (Object Model) rebase / cherry-pick / reflog 심화 활용 GitHub Act..
🧹 Git 19회차. Git 저장소 정리 및 리포지터리 마무리하기프로젝트가 끝나도 Git 저장소는 그대로 두시나요? 사실, 마무리 작업이 진짜 Git 실력입니다! 이번 회차에서는 Git 저장소를 깔끔하게 정리하고 협업자에게도 보기 좋은 상태로 만드는 방법을 소개할게요 😊📌 정리 전, 왜 저장소를 정리해야 할까? ✔️ 협업 종료 후 불필요한 브랜치가 난무 ✔️ .gitignore 없이 쓸모없는 파일 추적 중 ✔️ 히스토리가 너무 복잡해져 버전 파악이 어려움📦 Git 저장소 정리는 곧 프로젝트의 정돈된 마무리입니다. 아래 단계를 따라 깔끔한 리포지터리를 완성해봐요!1️⃣ 불필요한 브랜치 정리📍 로컬 브랜치 목록 확인git branch📍 병합된 브랜치 정리# main에 병합된 브랜치만 ..
🧨 Git 18회차. 실무에서 자주 하는 Git 실수 TOP 5와 해결법“실수하면 끝장인가요?” 아닙니다! Git은 실수해도 복구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 이번 회차에서는 초보자부터 실무자까지 자주 겪는 Git 실수들을 정리하고, 그에 대한 해결책까지 알려드릴게요 😊📌 실수 1. 잘못된 커밋 메시지를 썼어요 😢💥 상황git commit -m "커밋 메시지를 실수로 잘못 작성함"🛠 해결법: 마지막 커밋 메시지 수정git commit --amend -m "수정된 커밋 메시지" ✔️ 이미 push한 커밋이면, --force 푸시 필요 (주의!)📌 실수 2. 커밋할 파일을 빼먹었어요 😓🛠 해결법: 커밋 다시 수정하기git add 빠진파일.jsgit commit --amend기존 ..
🤖 Git 16회차. GitHub Actions로 자동화 시작하기 - Git으로 DevOps의 문을 열다!코드를 푸시했더니 테스트가 자동으로 실행되고, 사이트가 자동 배포되었다면? 바로 이것이 GitHub Actions의 세계입니다! 이번 회차에서는 GitHub Actions를 이용한 자동화의 시작을 도와드릴게요 😊🚀 GitHub Actions란?GitHub Actions는 GitHub에서 제공하는 자동화 도구입니다. 코드 변경 시 자동으로 테스트하거나 빌드, 배포를 할 수 있는 기능이에요.📌 예를 들어 이런 걸 자동화할 수 있어요 ✔️ PR이 올라오면 자동으로 테스트 실행 ✔️ main 브랜치에 push하면 웹사이트 배포 ✔️ 정기적으로 스크립트 실행 (예: 매일 오전 9시)즉, 사..
⚔️ Git 15회차. 충돌(conflict) 발생 시 대처법 - 실무형 해결 전략까지Git을 쓰다 보면 피할 수 없는 상황, 바로 충돌(conflict)입니다. 이번 회차에서는 충돌이 언제, 왜 발생하는지부터 실제로 생겼을 때 어떻게 해결하는지까지 자세히 안내드릴게요 😊🤔 Git 충돌이란?Git 충돌은 두 개 이상의 브랜치에서 같은 파일의 같은 부분을 동시에 수정했을 때 발생해요. Git은 병합할 때 자동으로 처리하려고 하지만, 같은 줄을 서로 다르게 수정한 경우 어떤 걸 남겨야 할지 판단하지 못해 충돌이 발생합니다.💥 충돌 예시// 원래 main 브랜치 코드const title = 'Welcome';// 브랜치 A에서 수정const title = 'Hello';// 브랜치 B에서 수정const ..
🌍 Git 14회차. GitHub 협업 실습 - Fork, PR, 리뷰까지 따라 하기이제 실전입니다! 이번 회차에서는 GitHub에서 협업하는 실습 과정을 직접 따라 해볼 거예요. Fork → 브랜치 작업 → Pull Request → 리뷰 → 병합까지 단계별로 함께해봐요 😊중복되는 내용인데 일단 추가로 학습하기 위해 적었어여🤝 협업에서 Fork를 사용하는 이유다른 사람의 저장소에 바로 푸시할 수는 없기 때문에, Fork를 이용해 내 계정으로 복사하고 거기서 작업하는 방식이 필요해요.✔️ 원본 저장소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 안전하게 작업 가능✔️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할 때 사용✔️ 권한 없이도 협업 가능GitHub에서 협업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식입니다.📌 실습 개요: 어떤 흐름으로 진행되나요?원..
🚫 Git 13회차. Git Ignore와 무시할 파일 관리하기 - 추적하면 안 되는 파일들프로젝트를 Git으로 관리할 때는 모든 파일을 올리면 안 돼요! 이번 회차에선 무시해야 할 파일을 지정하는 방법과 .gitignore의 정확한 설정법을 알려드립니다 😊🤔 왜 모든 파일을 Git에 올리면 안 될까?Git은 기본적으로 프로젝트 내 모든 파일을 추적할 수 있어요. 하지만 실무에서는 절대 Git에 올리면 안 되는 파일들이 존재합니다.📦 Git으로 추적하면 안 되는 대표 파일✔️ IDE 설정 파일 (예: .vscode/, .idea/)✔️ 빌드 결과물 (예: /dist, /build)✔️ 민감한 정보 (예: .env, api_key.json)✔️ 캐시, 로그 파일 (*.log, .DS_Store)✔️..
🏷️ Git 17회차. Git 태그(Tag) 관리법 - 버전 릴리스의 핵심 기능“v1.0.0”, “2025-07-release” 같은 버전 이름 보신 적 있으시죠? 바로 Git의 태그(Tag) 기능을 활용한 것입니다. 이번 회차에서는 Git 태그의 개념과 사용법, 실전 적용 방법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Git 태그(Tag)란?Git 태그는 특정 커밋을 표시하는 이름표입니다. 보통 제품 출시, 배포, milestone 등 중요한 시점을 기록할 때 사용합니다.✔️ 커밋 해시보다 이해하기 쉬운 버전명을 부여✔️ 릴리스 히스토리를 명확하게 관리✔️ 릴리스 노트, 배포 자동화와 연계 가능한마디로 “이 시점이 v1.0.0 버전입니다!” 하고 알려주는 마크입니다 😊📌 태그는 두 가지가 있어요1️⃣ Light..
🧰 Git 12회차. GUI 도구로 Git 쉽게 쓰기 - Sourcetree, GitHub Desktop, VSCode 활용법“Git 명령어는 너무 어렵다구요?” 괜찮아요! 이번 회차에선 CLI를 몰라도 Git을 활용할 수 있는 GUI 도구들을 소개합니다. Git은 복잡한 터미널이 아니라, 클릭으로도 충분히 다룰 수 있어요 😊🧠 CLI vs GUI, 어떤 차이가 있을까?구분CLI (명령어)GUI (그래픽 툴)입력 방식터미널에 직접 명령 입력버튼, 마우스 클릭학습 난이도초반 진입장벽 있음초보자도 쉽게 익힘작업 속도빠르고 정확함시각적으로 편함에러 복구고급 기능 가능에러 메시지 확인 쉬움CLI와 GUI는 서로의 장단점이 있어요. 초보자일수록 GUI로 시작해서 점차 CLI로 확장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
🤝 Git 11회차. 협업을 위한 Git 워크플로우 - 팀 개발의 시작!Git은 혼자 쓰는 도구가 아닙니다. 진짜 Git의 힘은 협업에서 발휘돼요! 이번 회차에서는 Git Flow 전략, 브랜치 운영법, PR 기반 협업 방법까지 모두 정리해드립니다 😊🧠 왜 Git 협업 규칙이 필요할까?혼자 개발할 땐 커밋 메시지를 대충 써도, 브랜치를 막 만들어도 문제가 없어요. 하지만 여럿이 함께 개발하는 상황에서는 규칙 없는 Git은 혼돈 그 자체입니다 😵✔️ 누가 뭘 작업 중인지 알 수 없음✔️ 서로 다른 브랜치가 충돌✔️ 코드가 꼬이고 버그가 많아짐그래서 실무에선 브랜치 전략과 커밋 컨벤션, PR 프로세스 등 협업을 위한 Git 워크플로우를 반드시 적용합니다.🌿 Git Flow란?Git Flow는 협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