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젠킨스
- spring Annotation
- 도커
- MYSQL
- 애드센스 수익
- docker mysql
- Spring Batch
- Spring Batch 강의
- 구글 애드센스 수익
- scrapy
- AES256
- Vue 강의
- 미국주식
- JDK1.3
- IntelliJ
- docker
- docker 명령어
- Spring
- Vue
- python 기초
- python
- Vue 배우기
- Vue 알아보기
- spring boot 시작
- 미국 배당주
- gradle
- intelliJ plugin
- apache log4j
- 티스토리 광고 수익
- Python 기본편
목록전체 글 (202)
나만의공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M22uc/btrIPWtfPLw/K5yPe1rWPp2u9BTTaFcgJ0/img.png)
Git을 편하게 쓰게 해주는 SourceTree를 사용하다가 보면 비밀번호를 제거 /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LDAP계정을 사용하거나 하면 다른 시스템은 모두 자동을 연동 되면서 변경이 되는데 소스트리는 변경이 안되고 이전 비밀번호를 유지 하는 경우도 있고여 맥은 아래 경로로 가셔서 비밀번호가 있는 파일 삭제한 후 소스트리에서 Patch를 하게 되면 비밀번호를 다시 물어보고 그때 변경된 비밀번호를 다시 입력하면 됩니다. 소스트리 비밀번호 삭제 or 변경 SourceTree는 비밀번호를 한번 입력 후 틀려도 비밀번호를 다시 요구를 안한다. (뭔가 불편 ㅠ.ㅠ) 사용자가 오 입력으로 이미 저장된 비밀번호를 강제로 삭제해야 한다. 제가 맥북을 사용하여 맥북 위치를 가이드로 만들었습니다. Windows..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Gdu0t/btrFt8yIhvb/M76REejNHtDVCApRErbZmK/img.png)
로컬환경에서 개발을 하다 DB쿼리에 Mapping 된 Parameter값을 보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여러 라이브러리가 존재 하는데 아래에 있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Spring DB Param Mapping 방법 사이트 : https://github.com/gavlyukovskiy/spring-boot-data-source-decorator 위 사이트에 접속하시면 총 3가지 라이브러리를 제공합니다. 이중 P6Spy라는 라이브러리를 이용하고자 합니다. Spring build.gradle 설정 build.gradle 파일에 아래 항목 하나만 더 추가 하면 끝납니다.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aF1jn/btrFmWQRnHq/VAezrC80fXBQAYTAM4N7C1/img.png)
개발을 하다보면 DB는 꼭 필요하게 됩니다. 여러 DB종류가 있는데 로컬환경에서 빠른 DB를 설치 할 수 있는 H2 Database 설치 방법을 공유 합니다. H2 Database 설치 사이트 : http://www.h2database.com/html/download.html 맥북은 아래 빨간색을 다운로드 받고, 윈도우는 그 위에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됩니다.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압축을 풀고자 하는 폴더로 이동 시킵니다. H2 Database 실행하기 압축을 해제한 폴더로 이동 한 후 bin폴더 아래에 있는 h2.sh 파일을 실행 합니다. 실행 권한이 없다는 오류가 나오면 아래와 같이 해당 계정에 실행 권한을 부여 합니다. chmod 755 h2.sh h2.sh을 실행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로그인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ribj/btrE4BIg4DQ/VgK5K9ztLETdrCXrOsL29K/img.png)
맥북을 사용하다가 보면 Finder에서 Terminal로 바로 이동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터미널을 별도로 열어서 cd명령어를 이용하여 이동해도 되지만 Finder에 있는 현재 폴더가 터미널에 바로 오픈되면 많이 편하고 작업 속도도 올라 갈 수 있습니다. Finder에서 단축키를 설정하여 Terminal로 이동하는 방법을 공유 드립니다. Finder 에서 Terminal 바로 이동하는방법 Finder를 선택한 후 서비스->서비스환경설정을 클릭합니다. -.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 항목에 단축키를 설정 합니다. 이제 Finder에서 단축키를 누르면 해당 폴더위치에 터미널이 오픈됩니다. 맥에 설치된 기본 터미널이 오픈되는데 별도 설치한 iTerm같은 터미널 오픈 방법은 추가로 확인 되면 공유 하겠습니다.